비트코인 블록체인 단어(용어) 사전

1. 서 론

비트코인이 탄생한지도 십년이 훌쩍 넘었습니다. 그렇지 비트코인은 일반인들에게 가까이 있는 것 같지만 안개에 가려져 있어 정확히 보이지는 않고 있습니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개념이기에 당연히 그럴것입니다. 이러한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을 보다 더 정확히 이해하려면 우선 그 용어부터 이해하고 친숙해져야 할 것입니다. 비트코인과 블록체인과 관련된 주요 용어를 이해하는 것은 다가올 미래 사회를 이해하고 적응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산이 될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주요 용어에 대해 간단하게 개념을 알아보겠습니다.

비트코인

2. 비트코인(bitcoin)관련 용어

비트코인 (Bitcoin)

비트코인은 최초의 암호화폐로,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디지털 형태의 화폐입니다.

 

암호화폐 (Cryptocurrency)

디지털 형태로 존재하며 암호화된 자산으로, 중앙 기관이 아닌 분산원장 기술을 기반으로 합니다.

 

분산원장 (Distributed Ledger)

데이터를 여러 장소에 분산 저장하여 데이터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술.

 

마이닝 (Mining)

암호화폐 네트워크의 보안을 유지하고 새 암호화폐를 발행하는 과정.

 

보상 (Block Reward)

마이닝 과정에서 블록 생성자에게 주어지는 보상으로, 새로운 비트코인과 거래 수수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지갑 (Wallet)

암호화폐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디지털 또는 물리적 지갑. 지갑은 공개 키와 개인키를 저장합니다.

 

공개 키 (Public Key)

암호화폐 주소의 공개 키로, 다른 사용자가 자금을 보낼 때 사용됩니다.

 

개인키 (Private Key)

지갑 소유자가 자금을 사용하거나 전송할 때 사용되는 비밀 키.

 

토큰 (Token)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자산으로, 스마트 계약 또는 거래의 대상이 됩니다.

 

사토시 (Satoshi)

비트코인의 가장 작은 단위로, 1 비트코인은 100,000,000 사토시로 나뉩니다.

 

블록 (Block)

블록체인에 기록된 거래 데이터의 단위.

 

분산 네트워크 (Decentralized Network)

중앙 권위자 없이 운영되는 네트워크.

 

노드 (Node)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구성원으로, 거래 검증과 블록 생성에 참여합니다.

 

알트코인 (Altcoin)

비트코인 이외의 모든 암호화폐를 가리키는 용어.

 

ICO (Initial Coin Offering)

암호화폐 프로젝트의 초기 자금 조달 방법으로, 투자자들은 암호화폐로 프로젝트 토큰을 구입합니다.

 

디파이 (DeFi)

디파이는 “분산 금융”을 나타내는 용어로, 중앙 기관이나 중개자 없이 블록체인과 스마트 계약 기술을 활용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씨파이 (CeFi)

씨파이는 “중앙화된 금융”을 나타내는 용어로, 중앙 기관 또는 중개자가 참여하여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비트코인 기본 용어(영상)⬅️⬅️클릭!

 

3. 블록체인(Blockchain)관련 용어

 

블록체인 (Blockchain)

거래 기록을 블록 단위로 연결하여 분산 저장하는 분산 원장 기술로, 데이터 위변조 및 변경을 방지합니다.

 

분산 컨센서스 (Distributed Consensus)

다수의 노드가 합의에 도달하고 거래의 유효성을 확인하는 프로세스.

 

스마트 계약 (Smart Contract)

자동화된 계약으로, 코드 기반으로 작성되며 조건 충족 시 실행됩니다.

 

퍼블릭 블록체인 (Public Blockchain)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대표적입니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Private Blockchain)

특정 조직 또는 그룹만 참여할 수 있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안전한 다중서명 (Multisig)

여러 사용자가 거래에 서명해야 하는 거래 보안 기술.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Enterprise Blockchain)

기업용으로 설계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비즈니스 응용을 위해 사용됩니다.

 

분산 앱 (DApp)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스마트 계약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하드 포크 (Hard Fork)

블록체인 프로토콜 변경으로, 이전 규칙과 호환되지 않는 새로운 규칙이 도입되는 경우.

 

소프트 포크 (Soft Fork)

블록체인 프로토콜 변경으로, 이전 규칙과 호환되는 새로운 규칙이 도입되는 경우.

 

클라우드 마이닝 (Cloud Mining)

마이닝 리소스를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센터에서 제공받는 방법.

 

해시레이트 (Hash Rate)

마이닝 하드웨어의 성능을 나타내는 지표로, 초당 해시 연산 수를 나타냅니다.

 

POS (Proof of Stake)

블록 생성 및 보안을 위해 암호화폐 보유량을 사용하는 알고리즘.

 

비트코인 거래 수수료 (Bitcoin Transaction Fee)

비트코인 거래를 처리하기 위해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

 

3. 결 론

비트코인 과 블록체인 관련 용어들은 일반인들이 쉽게 접하던 단어들이 아닐 것입니다. 그러기에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을 이해하기가 더욱 어려운게 사실입니다. 이러한 용어를 이해하면 암호화폐 및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개념을 더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다가올 세상의 변화에도 보다 능동적으로 이해하고 적응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분야는 매우 빠르게 변화하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학습을 통해 다가올 새로운 시대를 지혜롭게 살아가야 할 것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덴마크 귀족가문의 경제 사회 문화적 영향

영국 귀족의 경제 문화 사회 영향

경제 문화의 중심 프랑스 귀족

일본 귀족 가문을 파헤치다

미국에도 귀족이 있다: 미국 상류사회 명문가문(WASP)

 

Leave a Comment